나의 여유
적흔
시간이 없어
당신을 못 만나고
상황이 되지 않아
당신을 만나지 않습니다.
:
우선순위가
당신이어야 함에도
여유가 없다는 핑계로
당신께 나오지 않습니다.
그럴듯한 명분등으로
당신이 아닌 다른 곳으로 갑니다.
:
나는 당신을
사랑한다고 하면서도
정작
여러 많은 이유와 명분을 찾아
당신을 멀리 하려는 자입니다.
:
당신 없인
살 수 없다 하고
당신을 위해
죽을 수도 있다 하면서도
그 어떤 것도
포기하지 않고
내 마음만을 고집하며
사는 악한자입니다.
:
내 삶의
여유가 없는 것이 아니라
당신께
마음이 없는
당신께
마음을 두지 않는
죄인입니다.
:
당신만을
사랑하게 하소서.
<개인 비서 지피티 여사의 해석>
이 시는 신앙적 성찰과 회개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시인은 자신의 이중성과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고백하며, 진정으로 중요한 존재(‘당신’)에게 마음을 두지 못한 죄를 인정하고, 이를 바로잡고자 간절히 기도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신성한 존재(하나님) 또는 진정한 사랑의 대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시는 인간의 연약함과 회복을 향한 갈망을 강렬하게 표현합니다.
1. 외적인 이유로 멀어진 관계
• “시간이 없어 당신을 못 만나고 / 상황이 되지 않아 당신을 만나지 않습니다.”
• 바쁜 시간과 상황을 핑계로, 진정 중요한 존재와의 만남을 미루고 소홀히 하는 자신의 모습을 고백합니다.
• 이는 신앙에서 하나님과의 교제를 등한시하거나, 사랑하는 이와의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반영합니다.
2. 우선순위의 문제와 자기 합리화
• “우선순위가 당신이어야 함에도 / 여유가 없다는 핑계로 당신께 나오지 않습니다.”
• 자신의 삶에서 당신이어야 함에도, 여유가 없다는 이유로 중요한 관계를 외면한 자신을 자책합니다.
• 이는 사랑이나 신앙이 삶의 중심에 있지 않고, 세속적인 것들에 더 치우친 모습입니다.
• “그럴듯한 명분 등으로 / 당신이 아닌 다른 곳으로 갑니다.”
• 시인은 자신의 행위가 그럴듯해 보이는 명분 뒤에 숨겨져 있음을 고백합니다.
• 이는 인간이 자신을 합리화하며, 진정 중요한 가치를 외면하고 다른 우선순위에 빠지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3. 자기모순과 내면의 갈등
• “나는 당신을 사랑한다고 하면서도 / 여러 많은 이유와 명분을 찾아 당신을 멀리 하려는 자입니다.”
• 시인은 사랑을 말로만 고백하면서, 행동으로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이는 자신의 이중성을 성찰합니다.
• 이는 진정한 사랑과 신앙은 단순한 말이 아니라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행동임을 암시합니다.
4. 자기 중심성과 고집
• “당신 없인 살 수 없다 하고 / 당신을 위해 죽을 수도 있다 하면서도”
• 말로는 절대적 사랑과 헌신을 고백하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욕망과 고집을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고백합니다.
• 이는 인간의 본성이 얼마나 자기중심적이고, 사랑과 헌신에 부족한지를 드러냅니다.
• “그 어떤 것도 포기하지 않고 / 내 마음만을 고집하며 사는 악한 자입니다.”
• 자신의 이기심과 고집을 솔직히 인정하며, 이를 악한 마음으로 표현합니다.
• 이는 사랑과 신앙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고집을 내려놓고, 헌신적으로 마음을 내어주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5. 진정한 문제의 깨달음
• “내 삶의 여유가 없는 것이 아니라 / 당신께 마음이 없는 / 당신께 마음을 두지 않는 죄인입니다.”
• 시인은 여유 부족이 외부적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우선순위가 잘못되었음을 깨닫습니다.
• 이는 물리적인 시간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을 ‘당신’에게 두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 자신의 상태를 “죄인”으로 표현하며, 내면의 변화를 통해 진정한 관계를 회복하고자 합니다.
6. 회개의 간구
• “당신만을 사랑하게 하소서.”
• 마지막 구절에서 시인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며, 진정으로 ‘당신’을 사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합니다.
• 이는 사랑과 신앙을 삶의 중심에 두고, 이를 행동으로 실천하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종합 해석
이 시는 자기중심적 삶과 신앙적 나태함에 대한 반성을 담고 있습니다. 시인은 자신의 삶에서 ‘당신’(사랑의 대상이나 하나님)을 소홀히 하고, 이를 합리화해 온 자신의 모습을 깨닫고 회개합니다. 또한, “여유”의 부재는 외적인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방향성이 잘못되었기 때문임을 고백하며, 진정으로 사랑과 신앙의 중심을 회복하려는 갈망을 표현합니다.
결론적으로, 이 시는 사랑과 신앙을 실천하려는 내적 변화와 회개의 기도로, 진정으로 중요한 가치를 되찾고 이를 삶의 중심으로 삼으려는 다짐을 담고 있습니다.
공감 하시면
❤️ 와 댓글과 구독은
글을 쓰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