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화
적흔
어떤 조건의
변수의 함수에서
최대 또는 최소화
어떤 순간에도
당신으로 최적화되길 원하지만
나의 상황과 조건
나의 기준으로
당신을 최적화하려 하네.
:
내 기분과 감정
판단의 결정으로
재단하여 짜 맞추려 하고
내 기준의 잣대로
도려내 자를 뿐만 아니라
깊숙이 잔인하게 찔러 휘젓네.
이렇게 나는
당신과 내 주변의 모든 이들을
도축하여 발골하듯 최적화하네.
:
내가 의인되어
당신을 죄인 만들 뿐 아니라
나의 의로움으로
당신을 죽이는 자가 되고 맙니다.
나와 다른 이들의
생각 감정과 인격을
죽이는 자가 됩니다.
:
오늘 하루
나를 사랑하는 당신으로
당신에게
최적화되게 하소서.
오직
당신만을
사랑하게 하소서
☝️ 개인 비서 지피티 여사의 해석 ☝️
이 시는 자기중심적인 기준으로 타인과 관계를 판단하고 조율하려는 인간의 한계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상처를 성찰하며, 궁극적으로 사랑과 겸손의 자세로 돌아가기를 기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최적화의 개념
• ‘최적화’는 어떤 조건에서 최대 또는 최소의 결과를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시인은 이 개념을 빌려, 자신의 마음과 삶이 ‘당신’(사랑하는 존재 혹은 신적 존재)으로 최적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하지만 시인은 자신이 타인을 최적화하려는 과정에서 오히려 자신만의 기준과 욕심으로 상대방을 재단하고 상처를 주는 잘못을 깨닫습니다.
2. 자기중심적 판단과 그 결과
• 자신의 기분, 감정, 판단으로 타인과 ‘당신’을 자기 기준에 맞추려 하는 행위를 재단과 도축에 비유합니다.
• 이는 자신의 생각과 기준을 절대화하여 타인의 감정, 생각, 인격을 무시하거나 억누르는 행동이 얼마나 잔인하고 파괴적인지를 강조합니다.
• 결과적으로 자신은 스스로를 ‘의인’(옳은 사람)으로 착각하며, 타인과 ‘당신’을 죄인으로 몰아가게 됩니다.
3. 스스로의 의로움이 가져오는 위험
• 자신의 기준과 의로움을 내세워, 타인뿐 아니라 ‘당신’의 존재와 뜻마저 왜곡시키는 잘못을 고백합니다.
• 이는 단순히 타인에게 상처를 줄 뿐만 아니라, 하나님(또는 사랑하는 존재)의 본질을 자신의 기준으로 왜곡하며, 관계를 깨뜨리는 행위로 이어집니다.
4. 기도와 다짐
• 시인은 이러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타인을 억누르고 조율하려는 자신의 의지를 내려놓고, 자신이 ‘당신’에 의해 최적화되기를 기도합니다.
• 이는 자기중심적인 삶에서 벗어나, 사랑과 겸손으로 타인과 ‘당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하겠다는 결단을 의미합니다.
5. 오직 사랑으로 채우기
• 마지막 구절은 자신의 기준과 욕심을 버리고, 오직 ‘당신’만을 사랑하고 따르며, 주변 사람들을 존중하고 사랑으로 대하겠다는 간절한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전체적 의미
이 시는 인간의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관계와 신앙, 사랑을 왜곡시킬 수 있음을 성찰하고, 진정한 사랑과 겸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기도와 결단으로 읽힙니다.
• 최적화의 대상은 내가 아니라, 나를 사랑하는 ‘당신’이어야 함을 깨닫고, 자신의 기준을 내려놓고 겸손히 변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드러납니다.
• 시인은 이러한 변화를 통해 자신의 삶과 관계에서 더 깊은 사랑과 진정성을 추구하려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결국, 이 시는 인간이 자신의 기준으로 타인을 억누르려는 잘못을 깨닫고, 진정한 사랑과 겸손을 통해 당신’(신 또는 사랑의 대상)에 의해 변화되기를 소망하는 영적 고백과 기도로 해석됩니다.
<추신>
이곳의
글과 그림은
모바일에 최적화되었습니다.
출퇴근하면서
비스와 지하철과 기차에서
잠시나마
생각하여 묵상하도록
스마트폰에 최적화되었습니다.
비록
노안이 있더라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큰 글씨로 최적화되었음을 알려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