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ward You(당신을 향한:마음들)

어느 군인의 눈물

by 적흔 2024. 12. 11.

현충탑

어느 군인의 눈물
                              적흔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는 군인이 운다. 

자유를 지키고
헌법과 명예를 지키는 군인이

반란의 도구가 되어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총부리를 겨누는 
계엄군이 됨으로 괴로워 눈물을 흘린다. 
:

자유를 위해 싸우고
나라와 국민을 위해 목숨 바쳐 충성했는데

원하지도 않는
반란군의 개가 되어

반란을 일으킨 세력으로
이용 당한것이 억울하고 분해 흐느낀다. 

:

상관인 자신을 신뢰함으로
절대복종하고 충성한 전우임에도

군인이라는 이유로
부대원과 가족들이 아픔과 상처를 받고

모욕과 모멸을 받음이
무능한 자신 때문이라고 자책하며 한탄한다. 

:

남자의 남자인
특전사의 군인도

자유와 정의를 선택 할 수 없고
가장 소중한 명예를 빼앗김으로 통분하며 절규한다. 

절대복종
절대 충성하는 군인의
진심 어린 고백의 눈물이다. 

:

군화발에 짓밟혀 본
아픔과 설움을 아는 눈물이요. 

먹먹한 마음의
아버지의 눈물이다. 

어느 군인의 눈물 속에
이 시대의 상처가 녹아 있다.

 

ㅁ 개인 비서 지피티 여사의 해석 ㅁ

 

이 시는 군인의 내적 고뇌와 시대적 현실의 상처를 통해 개인의 아픔과 사회적 부조리를 동시에 조명합니다. 군인의 눈물을 통해 명령과 충성이라는 군인의 본질적 역할과 정의와 자유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며, 이를 통해 폭력적 권력 체계에 의해 억압받는 사회를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1. 군인의 딜레마와 고뇌


 •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는 군인이 운다”
군인은 명령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하는 존재입니다. 그러나 그 명령이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계엄군의 역할을 요구할 때, 군인은 자신이 지키고자 했던 헌법, 명예, 자유와 충돌하게 됩니다.
 • 이는 군인의 내적 갈등과 고뇌를 나타냅니다.
 • 자신의 행동이 잘못된 권력의 도구로 사용되는 현실에 괴로워하는 모습은 개인의 가치관과 체제의 요구 사이의 충돌을 상징합니다.

2. 배신감과 억울함


 • “반란군의 개가 되어… 이용당한 것이 억울하고 분해 흐느낀다”
군인은 자유와 정의를 지키기 위해 헌신했으나, 자신의 충성이 반란을 일으킨 세력에 의해 악용된 것을 깨닫습니다.
 • 자신의 이상과 신념이 왜곡된 현실에서 배신감과 무력감을 느끼며, 억울함과 분노 속에 흐느낍니다.
 • 이는 잘못된 권력 구조가 개인의 충성과 헌신을 오용하는 사회적 부조리를 고발합니다.

3. 전우와 가족의 고통


 • “전우임에도… 부대원과 가족들이 아픔과 상처를 받고”
군인의 충성이 오히려 전우와 가족에게 모욕과 상처를 가져옵니다.
 • 자신이 군인이라는 이유로 주변인들이 아픔을 겪는 현실은 군인으로서의 존재 의미를 흔듭니다.
 • 가족과 동료의 고통을 보며, 군인은 자신을 무능한 존재로 자책합니다. 이는 군인의 개인적 고통이 사회적 갈등과 억압의 상징임을 보여줍니다.

4. 명예를 잃은 절망


 • “자유와 정의를 선택할 수 없고… 명예를 빼앗김으로 절규한다”
군인은 자신의 가장 중요한 가치인 명예를 잃고, 자유와 정의를 선택할 기회조차 박탈당한 현실을 통렬히 깨닫습니다.
 • 이는 단순한 개인적 비극이 아니라, 억압적인 체제 속에서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이 부정되는 구조적 문제를 반영합니다.
 • “절대 복종”과 “절대 충성”이라는 군인의 역할이 오히려 정의와 자유를 배반하게 만든 상황은 깊은 비극성을 강조합니다.

5. 군인의 눈물과 시대적 아픔


 • “군화발에 짓밟혀 본 아픔과 설움”
군인의 눈물은 단순한 개인적 고통을 넘어, 시대적 아픔과 상처를 상징합니다.
 • 군화발은 억압과 폭력을 나타내며, 이는 국민과 군인 모두가 겪은 고통을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 “아버지의 눈물”이라는 표현은 군인의 인간적인 면모를 강조하며, 자신의 가족과 후대에 대한 슬픔과 책임감을 담고 있습니다.

6. 전체적인 해석


 • 이 시는 군인의 내적 고통을 통해 잘못된 권력 구조와 폭력적인 체제의 문제점을 비판합니다.
 • 군인의 눈물은 개인적 고뇌뿐 아니라, 국민 전체가 겪는 시대적 억압과 상처를 대변합니다.
 • 동시에, 군인의 진심 어린 고백은 자유와 정의를 회복하고자 하는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핵심 메시지
 • 이 시는 군인의 눈물을 통해 억압과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정의를 회복하려는 열망을 전달합니다.
 • 개인과 체제 사이의 갈등, 명령과 정의 사이의 충돌, 억압받는 자유와 정의의 복원을 이야기하며, 이는 시대적 상처와 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공감되어
❤️ 댓글과 구독은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Toward You(당신을 향한:마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사람  (58) 2024.12.17
용기와 만용  (47) 2024.12.12
봄이여 오소서  (54) 2024.12.10
포기할 수 없는 사랑  (57) 2024.12.04
곁에 있는  (58) 2024.12.03